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주의 동궁과 월지(舊 안압지)

쉬엄쉬엄 여행 스캐치

by 춤추는 파랑새 2015. 3. 3. 11:15

본문

 

 

경주의 동궁과 월지

(2015년2월10일)

문무왕 674년, 삼국을 통일하고 국력이 강해지면서 궁궐도 커지게 되어 신라 왕궁의 별궁이며,

태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안압지 남쪽에 신라 궁인 월성이 있어 이곳까지 자연스럽게 커진 것으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던 곳이다.

『삼국사기』에는 안압지의 이름이 나오지 않고,‘궁 안의 못'으로만 기록되었다.

1980년대‘월지’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 파편이 발굴되며, 본래 이름은 ‘달이 비치는 연못’이란 뜻의‘월지'라고 불렀다.

이후,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곳이 폐허가 되자. 시인묵객들이 연못을 보며‘화려했던

궁궐은 간데없고 기러기와 오리만 날아든다.'는 쓸쓸한 시 구절을 읊조리고

때부터 기러기 '안'자와 오리 '압'자를 써서 ‘안압지’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신라 특유의 우아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기와류, 화려한 금속 공예품들도 주목할 만하지만,

나무배와 나무로 만든 각종 건축 부자재, 나무편을 얇게 깎아 글을 기록한 목간 등도 매우 귀중한 생활 유물이다.
이 곳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만 무려 3만여 점으로, 왕실과 귀족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였던

실생활용품이 대부분인데, 예술성이 뛰어난 명품 700여 점을 선별하여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전시하고 있어

단일 유적지인 안압지에서 얼마나 대량으로 유물이 출토되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경주시 문화관광 홈페이지에서 퍼옴)

 

 

 

 

 

 

경주의 안압지

 임해전지(안압지)는 2011년 7월 경주 동궁과 월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배 중 가장 오래된 나무배 외,

목간,금동 초심지 가위,금동삼존판불,금동 봉황 장식,금동비로자나불입상,문고리 장식,목제 주령구등이 출토되어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전시하고 있다고 한다.


 

 

 

 

 

 

 

 

 

 

 

 

안압지를 볼 때 주목할 만한 것은, 동서 길이 200m, 남북 길이 180m,총 둘레 1000m로 그리 큰 규모는 아니지만,

가장자리에 굴곡이 많아 어느 곳에서 보아도 연못 전체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좁은 연못을 넓은 바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한 신라인들의 세련된 창의성이 돋보이며, 

못 안에는 동양의 신선 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섬 세 개와 열두 봉우리를 만들었고,

물을 끌어들이는 입수 장치나 배수구 시설 또한 교묘하고 세심하다. (경주시  홈페이지에서 발췌)

 

 

 

 

 

안압지의 멋진 야경을 구경하지 못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벚꽃이 활짝 피는 날 안압지의 야경은 여행객들로 하여금

경주의 밤에 취하게 만들 것 같은 느낌은 겨울에도 충분히 느낄 것 같다.

이 연못에도 백제의 조경기술이 접목되어 신라속에 고구려,백제의 문화가 녹아들면서 지금처럼 아름답고

과학적인 연못이 탄생되었다고 한다.

 

 

 

 

 

 

 

 

 

 

 

 

 

 

'쉬엄쉬엄 여행 스캐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인왕동 고분군...  (0) 2015.03.03
경주의 첨성대.  (0) 2015.03.03
경주 구황동의 당간지주..  (0) 2015.03.02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0) 2015.03.02
경주의 대릉원  (0) 2015.03.01

관련글 더보기